질서 너머

반응형
戊土는 굳고 두터우니 그 자체로 이미 중앙에...

무(戊) - 출처:위키미디아

적천수원문

 

戊(무)土(토)固(고)重(중). 旣(기)中(중)且(차)正(정).
  靜(정)翕(흡)動(동)闢(벽). 萬(만)物(물)司(사)命(명).
  水(수)潤(윤)物(물)生(생). 土(토)燥(조)物(물)病(병).
  若(약)在(재)艮(간)坤(곤). 怕(파)冲(충)宜(의)靜(정).

 

해설

 

戊土는 굳고 두터우니 그 자체로 이미 중앙에 거하면서 올바른 기품이 있다.

 

고요하면 모이고 움직이면 열려 만물의 명(命)을 다스린다.

 

水가 있어 적셔주면 만물이 생할 것이고, 흙이 메마르면 만물이 병들게 될 것이다.

 

만약 간곤(艮坤:寅申)이 있다면 충이 두려우니 고요해야 한다.

 

戊土는 양토(陽土)이니 그 기(氣)가 견고하고 두터우며 중앙에 거하여 올바름을 얻는다.

 

봄과 여름에는 기가 동(動)하여 열리므로 생기를 발하고, 가을과 겨울에느 기가 정(靜)하여

 

모이므로 거두어 저장하니, 그러므로만물의 명을 맡게 된다.

 

그 기가 높고 두터우니 봄과 여름에 생하고 火가 왕성하다면 마땅히 水가 있어서

 

적셔주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만물의 생기를 발하는 것이고, 흙이 건조하면 만물이

 

메마르게 되는 것이다. 가을과 겨울에 출생하고 水가 많다면 마땅히 火가 있어서

 

이것을 따뜻하게 해주면 만물이 성숙하게 되고 습하면 만물이 병든다.

 

간곤(艮坤)이란 寅申月을 말함인데, 봄에는 (木으로부터) 극을 받고 기가 허하게 되므로

 

마땅히 고요해야 하고, 가을에는 (金으로 인하여) 설기가 심한 것이니, 몸이 약하면 충(沖)을

 

두려워하게 된다. 만약 戊寅日과 戊申日이 되면 역시 고요한 것을 좋아하고 충을 두려워한다.

 

또 사계월(四季月:辰戌丑未)에 출생하면 庚申, 辛酉의 金을 가장 좋아하는데,

 

수기(秀氣)가 유행(流行)하여 확실한 귀격(貴格)이 된다. 己土 역시 그러하다.

 

만약 사주에 木火가 보이거나 혹은 행운(行運)에서 이것을 만나면 곧 파격(破格)이 된다.

반응형

'고전서 정리본 > 적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간(十干)- 임(壬)이란?  (0) 2021.07.22
십간(十干)-신(辛)이란?  (0) 2021.07.21
십간(十干)-경(庚)이란?  (0) 2021.07.20
십간(十干)-기(己)란?  (0) 2021.07.18
십간(十干)-정(丁)이란?  (0) 2021.07.16
십간(十干)-병(丙)이란?  (0) 2021.07.15
십간(十干)-을(乙)이란?  (0) 2021.07.14
십간(十干)-갑(甲)이란?  (0) 2021.07.13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