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30 - [학문적 자료/사주에 대하여] - 지지의 작용과 특성-2 지지의 작용과 특성-2 2021.07.28 - [학문적 자료/사주에 대하여] - 지지의 작용과 특성-1 지지의 작용과 특성-1 ▶십간의 음양 오행 적천수원문 陽(양)支(지)動(동)且(차)强(강) 速(속)達(달)顯(현)災(재)祥(상) 陰(음)支(지)靜 mingming97.tistory.com 위의 내용과 이어집니다. ▶십간의 음양오행 적천수원문(滴天髓原文) 양지(陽支)는 그 성정이 동적이고 강하니 길흉(吉凶)의 응험(應驗)이 언제나 신속하고, 음지(陰支)는 그 성정이 고요하고 약하니 그 화복(禍福)의 반응이 비교적 더디다. 사주 원국原局)에서나 운(運)에서나 모두 이런 이치에 따라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子寅辰午申戌이 양(陽)..
2021.07.28 - [학문적 자료/사주에 대하여] - 지지의 작용과 특성-1 지지의 작용과 특성-1 ▶십간의 음양 오행 적천수원문 陽(양)支(지)動(동)且(차)强(강) 速(속)達(달)顯(현)災(재)祥(상) 陰(음)支(지)靜(정)且(차)專(전) 否(부)泰(태)每(매)經(경)年(년) 해설 양지(陽支)는 동(動)하고 강(强) mingming97.tistory.com 위의 내용과 이어집니다. ▶십간의 음양 오행 적천수원문 구별하여 용신을 취하는데 있어서, 강유(剛柔)와 건순(健順)의 이치는 또한 천간과 다름이 없지만, 생극제화(生剋制化)는 그 이치가 천간보다 복잡다단한 것이다. 하나의 지지에 소장되어 있는 지장간은 두 개인 경우도 있고, 세 개인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기(本氣)가 위주가 된다. 寅..
▶십간의 음양 오행 적천수원문 陽(양)支(지)動(동)且(차)强(강) 速(속)達(달)顯(현)災(재)祥(상) 陰(음)支(지)靜(정)且(차)專(전) 否(부)泰(태)每(매)經(경)年(년) 해설 양지(陽支)는 동(動)하고 강(强)하니, 재앙과 상서로움(災祥)이 속히 나타나고, 음지(陰支)는 고요하고 전일(專)하니, 좋고 나쁨(否泰)이 언제나 해가 지나야 나타난다. [子寅辰午申戌이 양(陽)인데 그 성정은 동하는 것이고, 그 세력은 강하고 작용의 발생이 매우 빨라서 그 재앙이나 길조가 또한 빨리 나타난다. 丑卯巳未酉亥는 음(陰)인데 그 성정은 고요하고 기운이 전일하므로 그 작용의 발생이 빠르지 않고, 좋고 나쁜 결과도 늦어서 언제나 해가 지난 다음에 길흉이 나타난다.] 지지에서 子에서 巳까지가 양이 되고, 午에서 亥..
고전 명리서 발췌 들어가기에 앞서 다들 무더운 여름을 잘 보내고 있는지 모르겠다. 본인은 친구들과 함께 부산 여행을 다녀왔는데, 용궁사에서 좋은 기운을 받고 왔다. 속세에서의 근심과 고뇌가 참 덧없고 작은 것임을 다시금 느끼게 되더라. 그럼 다시 글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甲을 비롯한 천간은 하늘의 오행으로 한 번은 음이 되고 한 번은 양이 된다. 子를 비롯한 지지는 땅의 오행으로 땅의 방우(方隅)를 말한다. 그러므로 子寅午申은 양이고 卯巳酉亥는 음이며, 土는 사유(四維)에 거하고 사계(四季)의 끝에서 왕노릇을 한다. 土는 4가지가 있는데 辰戌은 양이고 丑未는 음이다. 그러므로 그 수(數)가 같지 않다. 합해서 말하면 10개를 12개에 배합하니 모두 합하면 60일이 되고, 여기에 6을 곱하면 1년이 된다...
고전 명리서 발췌 청양(清陽)한 것은 하늘이 되니 오행이 드러나 십간(十干)이 성립되었다. 탁음(濁陰)한 것은 땅이 되니 팔방이 정해지고 십이지(十二支)가 나누어졌다. 운이 옮겨지고 기가 변천하니 매년의 영허(盈虛)가 기(紀)에 응하고 상승하고 하강하니 만물마다 변화함에 기약이 있어서 간지의 배합이 함께 모여서 묘용(妙用)이 된다. ※음력으로 보아야 한다. 子는 북방의 지음(至陰)한 한수(寒水)의 위치로 일양이 처음 생겨나는 곳이다. 그러므로 음이 극에 이른즉 양이 생겨난다. 壬은 자식을 잉태함이고 子가 되기도 하니 이것은 11월의 진(辰)이다. 丑에 이르면 음이 여전히 다스리고 있으면서 얽어매고 있고 또 丑은 음이고 돕는 것이니 12월의 처음이자 끝이 되므로 얽어매는(結紐) 명칭이 된다. 寅은 정월(正..
癸水는 지극히 약하나, 천진(天津)에까지 도달할 수 있고... 적천수원문 癸(계)水(수)之(지)弱(약). 達(달)於(어)天(천)津(진). 得(득)龍(룡)而(이)運(운). 功(공)化(화)斯(사)神(신). 不(불)愁(수)火(화)土(토). 不(불)論(론)庚(경)辛(신). 合(합)戊(무)見(견)火(화). 化(화)象(상)斯(사)眞(진). 해설 癸水는 지극히 약하나, 천진(天津)에까지 도달할 수 있고, 용을 얻으면 신의 조화를 부린다. 천진(天津):하늘의 나루, 즉 하늘의 끝 火土를 근심하지 않고 庚辛을 논하지 않으며, 戊와 합했는데 火를 만나면 진정한 화상(化象)을 이룬다. 癸水는 비와 이슬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순음(純陰)의 水인데 발원이 비록 길지만 그 성정은 지극히 약하고, 그 형세가 가장 고요하다. 그러..
壬水는 통하(通河)로서 능히 金氣를 설하므로 강(剛)한 가운데... 적천수원문 壬(임)水(수)通(통)河(하). 能(능)洩(설)金(금)氣(기). 剛(강)中(중)之(지)德(덕). 周(주)流(류)不(불)滯(체). 通(통)根(근)透(투)癸(계). 冲(충)天(천)奔(분)地(지). 化(화)則(즉)有(유)情(정). 從(종)則(즉)相(상)濟(제). 해설 壬水는 통하(通河)로서 능히 금기(金氣)를 설하므로 강(剛)한 가운데 덕을 지니게 되며 두루 흘러 막힘이 없다. 지지에 통근(通根)하고 癸水가 투출하면 물이 범람하여 분탕질을 일으키게 된다. 화(化)하면 유정하게 되고, 종(從)하면 상제(相濟)하게 된다. 壬은 양수(陽水)이고 통하(通河)는 곧 천하(天河)이다. 申에서 장생이 되고 申은 천하(天河)의 입구가 된다. 또한..
辛金은 연약하니 따뜻하고 윤택하게 해주면 맑게 되고... 적천수원문 辛(신)金(금)軟(연)弱(약). 溫(온)潤(윤)而(이)淸(청). 畏(외)土(토)之(지)疊(첩). 樂(낙)水(수)之(지)盈(영). 能(능)扶(부)社(사)稷(직). 能(능)救(구)生(생)靈(령). 熱(열)則(즉)喜(희)母(모). 寒(한)則(즉)喜(희)丁(정). 해설 辛金은 연약하니 따뜻하고 윤택하게 해주면 맑게 되고, 土가 많은 것을 두려워하며, 水가 가득한 것을 즐거워하고, 능히 사직을 지키고, 생령(生靈)을 구할 수 있다. 뜨거울 때는 어머니를 좋아하고, 추우면 丁火를 좋아한다. 辛金은 세상에 있는 오금(五金:金銀銅錫鐵)이다. 그러므로 맑고 윤택하면 볼만하다. ↳금은동석철 土가 중첩된 것을 두려워하는 것은 戊土가 지나치게 많으면 물이 고..
庚金은 살기를 띠고 있으며 가장 강건(剛健)하다. 적천수원문 庚(경)金(금)帶(대)煞(살). 剛(강)健(건)爲(위)最(최). 得(득)水(수)而(이)淸(청). 得(득)火(화)而(이)銳(예). 土(토)潤(윤)則(칙)生(생). 土(토)乾(건)則(칙)脆(취). 能(능)嬴(영)甲(갑)兄(형). 輸(수)於(어)乙(을)妹(매). 해설 庚金은 살기를 띠고 있으며 가장 강건(剛健)하다. 水를 얻으면 깨끗해지고, 火를 얻으면 예리해지며, 土의 윤택함을 얻으면 생(生)하고 土가 건조하면 무르게 된다. 형인 甲을 이기지만 아우인 乙에게는 진다. 庚은 가을의 숙살지기(肅殺之氣)이고 가장 강건하다. ↳만물을 죽이는 가을의 쌀쌀한 기운 水를 얻으면 맑아진다는 것은 壬水를 얻음을 말한다. 壬水는 강한 칠살의 기운을 인통(引通)하여 ..
己土는 낮고 습하며 중정(中正)을 함유하고 있다. 적천수원문 己(기)土(토)卑(비)濕(습). 中(중)正(정)蓄(축)藏(장). 不(불)愁(수)木(목)盛(성). 不(불)畏(외)水(수)狂(광). 火(화)少(소)火(화)晦(회). 金(금)多(다)金(금)光(광). 若(약)要(요)物(물)旺(왕). 宜(의)助(조)宜(의)幫(방). 해설 己土는 낮고 습하며 중정(中正)을 함유하고 있다. 木이 왕성한 것을 근심하지 않으며 水가 창궐하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적은 火는 己土를 만나면 빛을 잃고 많은 金이 己土를 만나면 빛이 난다. 만약 만물이 왕성해지고 싶으면 火土의 방조를 얻어야 한다. 己土는 음습(陰濕)한 土로서 중정(中正)의 기품을 지니고 있으면서 그 기가 팔방에 통하고 사계(四季:辰戌丑未月)에 왕성하여 쉬지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