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서 너머

반응형
壬水는 통하(通河)로서 능히 金氣를 설하므로 강(剛)한 가운데...

임(壬) - 출처:위키미디아

적천수원문

 

壬(임)水(수)通(통)河(하). 能(능)洩(설)金(금)氣(기). 剛(강)中(중)之(지)德(덕). 周(주)流(류)不(불)滯(체).
  通(통)根(근)透(투)癸(계). 冲(충)天(천)奔(분)地(지). 化(화)則(즉)有(유)情(정). 從(종)則(즉)相(상)濟(제).

 

해설

 

壬水는 통하(通河)로서 능히 금기(金氣)를 설하므로 강(剛)한 가운데 덕을 지니게 되며

 

두루 흘러 막힘이 없다. 지지에 통근(通根)하고 癸水가 투출하면 물이 범람하여 분탕질을 일으키게 된다.

 

화(化)하면 유정하게 되고, 종(從)하면 상제(相濟)하게 된다.

 

壬은 양수(陽水)이고 통하(通河)는 곧 천하(天河)이다. 申에서 장생이 되고 申은 천하(天河)의 입구가 된다.

 

또한 곤방(坤方)에 있고 壬水가 여기에서 生하니 능히 서방(酉方)의 숙살지기(肅殺之氣)를 설기하여

 

강중지덕(剛中之德)이 되는 것이다. 백가지 물줄기의 근원이며 두루 흘러 막힘이 없고 나아가기는 쉽지만

 

물러서기는 어렵다. 만약 申子辰수국(水局)이 완전하고 또다시 癸水가 투출했다면 그 세가 범람하게 되니,

 

설사 戊己土가 있다고 해도 역시 그 흐름을 막지 못한다. 만약 강제로 제압하려고 한다면 도리어

 

충격(衝激)하여 수환(水患)을 이루게 될 것이므로 반드시 木을 써서 이를 설기해야 하고

 

그 기세에 순응해야 하늘에서 충천하고 지지에서 분탕질을 일으키는 데에 이르지 않는다.

 

丁과 합하여 木으로 변하면 능히 火를 생할 수 있으니 끊임없이 化하고 生하는 작용을 할 수가 있고,

 

化하면 곧 유정하게 된다. 4,5,6월에 출생하고 사주에 火土가 모두 왕성한데 달리 金水가 서로 돕는 것이

 

없을 경우에, 火가 왕하고 천간에 투출하면 火를 종하고, 土가 왕하고 천간에 투출하면 土를 종하는데,

 

조화를 이루고 윤택하게 되면 水火가 조화를 이루어 상제(相濟)하는 공이 있게 된다.

반응형

'고전서 정리본 > 적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의 작용과 특성-1  (0) 2021.07.28
지지의 의미와 특성-2  (0) 2021.07.27
지지의 의미와 특성-1  (0) 2021.07.24
십간(十干)- 계(癸)란?  (0) 2021.07.23
십간(十干)-신(辛)이란?  (0) 2021.07.21
십간(十干)-경(庚)이란?  (0) 2021.07.20
십간(十干)-기(己)란?  (0) 2021.07.18
십간(十干)-무(戊)란?  (0) 2021.07.17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